일본 교육의 역사
0. 근대화 이전 (막부 말기의 문해력은 세계 최상위 수준.)
a. 데라코야(에도 시대의 글방)
- 처음 시초는 스님이 절에서 아이들에게 불경 등을 가르친 것
- 평민과 무사계급 자녀가 입학
- 도덕 수련 및 읽기, 쓰기, 수학(주판)을 가르침
- 신분에 맞는 교육을 함.(예:상인에게 주판을 집중 교육)
- 독신선생님이나 부부가 운영. 수천 개 존재.(서당과 비슷한 느낌.)
b. 한코(에도 시대, 번의 자제를 가르치기 위해 설립한 학교)
- 무사 계급의 자녀들의 수업을 들음. 당시 10세부터 입학, 유교를 중심으로 한 무사도를 비롯해, 논어, 서학, 의학, 천문학까지 가르침. 칼을 차고 수업을 받음. 당시 약 270개의 한코가 존재.
c. 고우각코
- 에도 시대 한코의 분교 또는 서민과 번사의 교육을 위해 설립한 학교)
cf. 번사 : 해당 번의 영주에 소속된 무사.
d. 수업 형태
- 오우라이모노(초등교육용으로 편집된 교재)에 의한 습자나 암송
1. 근대학교와 수업의 성립
a. 근대학교 성립은 1872년 『학제』의 「학사장려에 관한 피앙출서」로부터 출발
b. 수업 형태
- 일제 수업(유럽이나 미국의 수업 형태)
- 신분이나 계급, 성차를 넘어 공통 문화를 전달하는 국민교육 시스템 형성
c. 특징
- 교육내용이 국가에 의해 정해짐
- 학급편성양식이 도입(반년마다 등급제, 과거의 자학 형태의 전통 답습 ⇒ 1891년부터 학급제 채용 ⇒ 1900년부터 현재와 같은 학년제에 의한 학급 편성)
- 일제수업 양식이 도입 [1889년~ ](헤르바르트파의 ‘예비, 제시, 비교, 총괄, 응용’ ⇒ ‘도입, 전개, 정리’)
2. 신교육의 전개와 배움의 개혁
a. 다이쇼 자유교육
- 1910년대~1930년대에 아이의 자발성이나 활동을 찾는 교육개조운동
- 국력의 충실을 도모해야 할 각오와 실력을 갖춘 인물 양성(세이케이 실무학교)
- 사립학교 ⇒ 사범학교 부속 소학교 기반으로 추진
- 분단식 동적교육법 : 능력별 집단 편성에 의한 개별화 교육(메이세키 사범학교)
b. 세이조 소학교
- 특징 : ①개성존중교육, ②자연과 친하게 지내는 교육, ③심정 교육, ④과학적 연구를 기초로 하는 교육
- 뿌리 : 파크 허스트의 「돌턴 플랜」 ⇒ 아이 개인과 교사의 학습 계획에 의해 ‘과제’를 정함을 통해 배움의 개성화와 개별화를 추진하는 방식
c. 이케부쿠로지도노무라 소학교
- 아이들의 ‘유토피아’ : 교육과정, 수업시간, 담임교사도 아이들이 자유롭게 선택
- 교사들은 아이들의 개성 표현 촉진, 공동체 구성, 교육실천기록(이야기 형식)
d. 나라여고사범 부속 소학교 : 환경 분야와 통합지도 시도, 학습과정 연구
e. 쇼와 시대 초기 교육
- 생활 글쓰기 : 학생이 실제 생활을 소재로 글을 쓰게 하고, 이를 통해 냉엄한 생활 현실에 맞서는 인식을 기르게 함. 파시즘에 의해 탄압, 왜곡됨.
3. 전후 신교육과 수업개혁
a. 특징 : 국가중심 교육 ⇒ 아동중심 교육, 전쟁 교육 ⇒ 평화 교육, 전체주의 교육 ⇒ 민주주의 교육
b. 미국 교육사절단 보고서(1946년 3월) : 중앙집권적이고 관료주의적인 교유 비판, 교사가 교육과정과 수업을 창조적으로 개발하도록 함.
c. 일본 내의 반응
- 문부성의 「신교육지침」 발표 (1946년 5월) : 아동중심 수업 창조
- 1947년 「학습지도요령(시안)」이 발표됨으로써 자체적인 교육과정 편성(70%)과 단원 창조(80%)의 노력이 이루어짐.
- 신교육 : ①평화주의와 민주주의를 강조. 경험에 의한 배움을 중심으로 하는 개혁②‘활동주의·체험주의’라는 비판을 받음③비판 이후 생활 경험과 과학적 개념을 연결한 것인가를 연구함
- 사이토 기하쿠 : ‘수업의 창조’
⇒ ‘민족문화유산’을 획득, 발견, 인식함으로써 ‘민주주의 정신’과 ‘구김살 없는 심성’을 기르고자 함. 이는 전국교사의 학교개혁과 수업 변화의 모범이 됨.
d. 1958년 「학습지도요령」 전면 개정
- 국가 검정제도로 돌아감으로써 교사의 교육실천 자유와 자율성을 제한함으로써 신교육의 실천은 거의 괴멸상태에 빠지게 됨.